이 대학원은 고려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협력하여, 폭넓은 융합적 사고를 고취하고 창조적인 연구능력을 함양함으로써 국내외의 융・복합 기술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공동으로 양성함을 교육목표로 한다. 나아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연구(Need-Based Research), 인간 중심의 연구(Human-Oriented Research)를 통해 삶의 질(Quality of Life)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의미(Meaning of Life)와 삶의 존엄(Dignity of Life)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.
NBIT융합전공은 나노과학(Nanoscience)과 바이오·의과학(Biotechnology-Medical Science)의 융합에 기반한 분자메모리 및 정보전달, 스핀트로닉스, 미래반도체, 멤리스터(인공 뇌), 에너지 하베스팅, 분자영상, 인공장기, 키노믹스, 바이오센서, 줄기세포, 나노의약 등의 융·복합 과학기술분야에서 폭넓은 융합적 사고를 고취하고 창조적인 연구능력을 함양함을 교육목표로 한다.
NBIT Nano-Bio-Information-Technology
핵심교육역량 | 핵심교육역량 상세 | |
---|---|---|
Ⅰ | 창의적 융합과학기술 | 융합과학기술 교육을 통해 융합분야에 창의적으로 도전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교육함. |
Ⅱ | 핵심적 기초과학 | 물리, 화학, 생물학 등 융합과학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초과학지식을 교육함. |
Ⅲ | 융복합적 응용과학기술 | 나노과학(Nanoscience), 바이오 의과학 분야의 융복합적 응용과학기술을 교육함. |
자율교육역량 | 자율교육역량 상세 | |
---|---|---|
1 | 에너지 변환 및 저장기술 |
-에너지 변환 재료 및 소자의 원리. -관련 박막기술, 나노소재기술, 나노소자기술, 회로기술 습득 |
2 | 스핀전자소자 및 스핀물성 |
-스핀트로닉스 소자의 메커니즘 이해 및 실험 -스핀의 거동과 자화와의 상호작용 이해, 응용소자에 대한 소개 |
3 | 생체재료, 조직공학 |
-생체에 이식되는 재료에 대한 소개 및 설계에 대해 학습 -인체장기 및 조직 재생용 지지체, 세포 및 융합기술에 대해 학습 |
4 | 프론티어 인터페이스 | -다양한 계면형성에 대해 조사하고 그 계면의 프론티어 역할에 대해 학습 |
5 | 마이크로 시스템 설계, 제작, 응용 | -마이크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설계, 재료 및 제작 공정에 대해 학습 |
6 | 생체영상, 분자영상 |
-생체영상의 기본원리, 표지자 합성, 측정 등을 학습 -분자 영상표지자 합성, 동물영상 획득기법 습득 |
7 | 암 화학생물학 | -암치료학/암생물학/표적항암제 탐색과 관련된 화학생물학에 대해 학습 |
8 | 유연전자소자 및 소재 |
-유연전자소자와 소재 소개 및 설계에 대해 학습 -유연소자의 제작공정 및 특성분석방법에 대해 학습 |
9 | 패치클램핑과 이미징 | -신경과학의 기초가 되는 전기생리학과 형광이미징 기술 습득 |
10 | 2차원 나노소자 및 물성 |
-2차원 소재와 물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나노소자의 제조 및 전기적, 광전기적 특성에 대해 학습 |
이수구분 | 이수학점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석사과정 | 박사과정 | 석·박사통합과정 | ||||
교과학점 | 기초공통 | 필수 | 융합과학기술개론 | 3 | 3 | 3 |
융합과학기술콜로퀴움(Ⅰ~Ⅳ) | 3 (1학점X3학기) | 3 (1학점X3학기) | 6 (1학점X6학기) | |||
석사연구세미나 | 3 (3학점X1학기) | 3 (3학점X1학기) | ||||
박사연구세미나 | 3 (3학점X1학기) | 3 (3학점X1학기) | ||||
선 택 | 6 (3학점X택2과목) | |||||
소 계 | 15 | 15 | 21 | |||
전공선택 | 9 | 21 | 33 | |||
소 계 | 24 | 36 | 54 | |||
연구지도학점 | 8 (2학점X4학기) | 8 (2학점X4학기) | 16 (2학점X8학기) | |||
총 수료학점 | 32 | 44 | 70 | |||
비 고 |
|